- TOUCH storylab
돈 잘 쓰는 중국인들 겨냥한 명품의 변신
세계에서 명품 소비가 가장 많은 나라는 과연 어디일까? 글로벌 컨설팅 업체인 맥킨지(McKinsey & Company)의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세계에서 가장 많은 명품을 소비한 나라는 중국으로, 한 해 명품 소비액은 전 세계 명품 소비액의 1/3에 달하는 7,700억 위안(약 132조 원)이라고 한다. 또한 5년 후인 2025년에는 1조 2천억 위안(약 252조 원)으로 전 세계 명품의 65% 이상이 중국에서 소비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특히 중국의 고위층과 부유층 중심의 밀레니얼 세대와 Z 세대들은 세계 명품 소비의 큰 손으로 불리며 각종 명품의 신상이 공개될 때마다 열광적이고 경쟁적으로 구매하는 경향을 보여왔다. 이러한 분위기를 재빠르게 간파한 세계 각국의 명품 브랜드들은 곧 다가오는 중국의 춘절을 겨냥해 올해의 띠 ‘소’를 아이콘으로 하는 상품들을 대거 출시하며 중국 명품족들의 지갑을 노리고 있다.

Burberry
세계적인 명품의 지존 버버리(Burberry)에서는 지난 1월 초부터 구정을 겨냥한 제품들을 홍보하고 나섰다. 중국인들이 좋아하는 원색의 컬러 조합을 버버리 특유의 체크보드 무늬로 엮은 뒤 소머리 모양의 로고를 붙여 올해가 소의 해라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해마다 달라지는 띠에 의미를 부여하는 12간지는 중국의 율력에서부터 비롯된 중국의 중요한 문화유산 중 하나다. 세계적인 명품 버버리도 중국의 12간지를 활용하며 한시적이나마 중국 소비자들의 마음을 얻는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Christian Dior
우아함과 섬세함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크리스쳔 디올은 자사의 핵심 컨셉과 스트리트 패션의 탑으로 꼽히는 Stussy Style과 Palace Skateboards를 접목한 아이디어로 밀레니얼과 Z 세대에게 인기를 끌 만한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복을 상징하는 빨간색 옷에 소의 모양은 본뜬 문양에 디오르 로고를 그려 넣은 제품은 스포티함과 고급스러움을 동시에 표현하고 있다.
Apple Air Pod Pro
13억 인구를 자랑하는 세계 최대의 유통 마켓 중국을 애플사도 무시할 수 없다. 최근 애플은 중국을 겨냥한 옥스 에어팟 프로(Ox Air-pod Pro) 한정판을 출시했다. 이 모델은 기존의 Air-Pod Pro에 iOS Ox Emoji를 새겨 넣었는데, 케이스 자체에는 단색 이모지로, 포장용 박스 측면에는 중국인들의 행운의 색깔로 알려진 빨간색 버전을 그려 넣었다.
North Face
중국인들에게 큰 사랑을 받는 노스페이스는 춘절을 맞아 ‘Never Stop Exploring’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중국인들의 구매를 장려하고 있다. 세계에서 사람이 살기에 가장 힘든 지역을 배경으로 최고의 내구성을 가진 노스페이스 제품에 패셔너블한 센스까지 곁들여 만든 이 컬렉션은 진취적이면서도 컬러에 민감한 중국인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다.
Nike
비단에 수를 장식한 것 같은 화려하고 컬러풀하게 변신한 나이키의 새로운 디자인도 눈길을 끌고 있다. 춘절을 겨냥한 이 제품은 중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템플에서 영감을 받은 색채가 주를 이루며, 특히 중국인들에게 친숙한 몇 가지 테마가 다양한 색과의 조화를 이루었다는 호평을 받았다. 신발 전반에 깔린 연한 베이지색은 중국의 밀가루 요리를 상징하고, 측면의 엠보싱 처리된 것은 중국의 시안 지역에서 먹는 전통 빵을 뜻한다. 그리고 신발 뒷면에 식(食)자를 새겨넣어 중국의 식문화를 존중하는 의미를 담았다고 한다. 코로나19 로 인한 경기침체를 명품 소비가 많은 중국 시장에서라도 만회해보려는 회사들의 노력이 잘 드러난 제품들이다.
자료 출처: Jing Daily, Burberry China, Christian Dior, Apple, North Face, N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