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 TOUCH storylab

손글씨, 쓰면 쓸수록 아이는 똑똑해진다

인류의 지성은 긴 역사를 지나오면서 ‘손’이라는 도구를 통해 세상에 흔적을 남겼다. 학자나 철학가의 생각, 과학자의 이론 등은 책을 통해 후대에 전달되었고, 예술인의 영감은 연필의 한 획을 긋는 손끝에서부터 출발했다. 노르웨이 과학 기술대학교(Norweg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NTNU) 뇌 연구기관의 자료에는 손으로 글씨를 쓰는 아이들이 더 많은 것을 배우고 더 오랫동안 기억한다고 소개하고 있다. 연구를 주도했던 Audrey Van der Meer 교수는 아이들이 최소한의 필기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국가 차원의 지침이 제정되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요즘 같은 디지털 시대에 아이들에게 요구되는 것은 더 많은 온라인 클래스(Online Class), 페이스 타임(Face time), 타이핑(Typing), 탭핑(Taping) 등이다. 손에서 스마트폰이 떠나질 않고, PC나 태블릿도 늘 주변에 놓여있다. 9세부터 16세 사이의 어린아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적어도 하루 평균 4시간 이상을 컴퓨터 앞에서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비대면이 요구되는 팬데믹 상황에서는 이전보다 훨씬 더 많은 시간을 컴퓨터 앞에서 보낸다고 답했다.


Audrey Van der Meer 교수는 2017년부터 2020년까지 이 문제를 좀 더 명확하게 규명하기 위해 20명의 학생들의 뇌 활동을 조사했으며, 뇌전도 기기를 통해 아이들의 뇌파 활동을 추적하고 기록했다. 그 결과 아이들의 뇌는 타이핑을 할 때보다 손으로 무언가를 쓸 때 훨씬 더 활동적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으며, 키보드 사용보다 필기를 선택하면 최고의 기억력과 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얻어냈다. 손으로 글씨를 쓴다는 것은 종이에 연필이나 펜을 누르는 에너지 활동, 채워지는 글씨 모양을 눈으로 보는 시각 활동, 그리고 글씨를 쓸 때 나는 소리를 듣는 청각 활동까지 더해져 뇌의 감각을 자극하기 때문에 훨씬 더 건강하고 원활한 뇌 활동을 유도할 수 있고, 이러한 감각 경험은 뇌에 학습의 형태로 저장되어 더 잘 배우고, 잘 기억하며 더 스마트한 아이로 성장하게 된다는 것이다.

Prof. Audrey Van der Meer. image credit Adressa.no

손글씨는 단순히 아이들에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어른들도 마찬가지로 쇼핑 목록이나 전화번호, 메모 등을 손으로 직접 작성하면 훨씬 오랫동안, 또 정확하게 기억하며, 장기적으로는 치매를 예방하는 데까지 도움이 된다고 한다.


아이들은 또래들과 어울려 사회성과 인지력 그리고 인성을 키워나가게 되지만 요즘은 온종일 실내에서 디지털 기기들과 씨름하며 마땅히 배워야 할 것들을 놓치며 살고 있다. 특히 요즘같이 ‘집콕’이 요구되는 시기에는 자칫 컴퓨터나 스마트 폰에 더욱더 쉽게 빠지게 된다. 하루 30분이라도 주변 전자 기기들을 다 내려놓고 ‘손으로 글씨 쓰기’, ‘책 소리 내어 읽기’, ‘그림일기 쓰기’, 등 전통적인 교육 방법을 통해 새로운 체험을 해보는 것도 큰 유익이 될 것이다.


자료 출처: Science Daily, Slashgear, neurosciencenew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