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 Clint Jung, Writer

안동혁, Computer Scientist 인터뷰

인문학에서 공학도로 … 과학기술의 정점, 슈퍼 컴퓨터의 현재를 이끌다


Dong H. Ahn Computer Scientist

팬데믹으로 시작된 재택근무가 이어지고 있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IT,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클라우딩 서비스 등, 통틀어 컴퓨터 과학 기술 때문이다. 두 달 전, R&D 월드 매거진은 세계 톱 100 산업 발명품 상(TOP 100 Industrial Inventions Worldwide)에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Lawrence Livermore National Laboratory(LLNL))의 고성능 컴퓨팅을 위한 차세대 워크로드 관리 소프트웨어인 플럭스(Flux)가 수상하였다고 발표했다. 이 프로그램 개발의 프로젝트를 총괄 진행한 담당자는 컴퓨터 과학자 안동혁 수석연구원. 그는 2001년 일리노이 주립대(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UIUC))에서 컴퓨터 공학 석사 학위를 취득한 뒤 국립 슈퍼컴퓨터 애플리케이션 센터(National Center for Supercomputing Applications (NCSA))에서 리서치 어시스턴트로 근무하다가 LLNL에 합류하였다. 2001년부터 리버모어 컴퓨팅(Livermore Computing (LC))의 개발환경 그룹(the Development Environment Group (DEG))에서 일하며 현재 차세대 컴퓨팅 개발(the next-generation computing enablement (NGCE))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다. 플럭스는 컴퓨팅 시스템을 위한 고도로 확장 가능한 소프트웨어 에코시스템 R&D를 지향하는 NGCE의 핵심기술이다. 캘리포니아 실리콘 밸리에서 약 40분 거리에 위치한 샌 레먼(San Ramon)에 살고 있는 컴퓨터 과학자 안동혁 씨와 비대면 화상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Q: 축하드립니다. 세계 산업 발명품 상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수상 소감을 먼저 부탁드립니다.


A: R&D 100 Awards는 R&D 월드 매거진에서 주최하는 지난 반세기 동안 과학 및 기술 분야에서 위대한 R&D(Research and Development :연구 개발) 개척자들과 그들의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기리기 위해 주어지는 가장 권위 있는 상 중 하나입니다. "발명의 오스카(Oscars of Invention)"라고도 알려진 이 상은 상업적 잠재력을 지닌 첨단 과학 및 공학 기술의 개발에 대해 매년 수여 되고 있는데, 저는 2011년에 스택 추적 분석 툴(Stack Trace Analysis Tool (STAT))이란 소프트웨어로 처음 수상하였고, 2017년에는 푸르너스 툴셋(the PRUNERS Toolset)이란 소프트웨어로 결선 진출을 했었는데 아깝게 수상을 놓쳤었습니다. 작년 11월에 Flux 소프트웨어로 다시 수상할 수 있었는데, 두 번째 수상임에도 표현할 수 없을 만큼 영광스러웠고 기뻤습니다. 물론 저 혼자 해낸 것이 아닙니다. 지난 8년간 이 프로젝트를 위해 애써온 우리 팀 모두가 이뤄낸 노력의 보상이라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Q: 현재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 연구소에서 20년 이상 근무하신 것으로 압니다. 2001년부터 합류하신 걸로 알고 있는데, 연구소에 관해 소개와 수년간 개발을 주도해서 이번에 상을 받은 소프트웨어 Flux에 대한 간략한 소개도 부탁드리겠습니다.


A: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 연구소 LLNL는 1952년에 세워진, 현재 약 7천6백여 명의 스태프가 일하는 미국에서 가장 큰 국립연구소 중 하나입니다. 연구소의 면적은 1 제곱마일(80만평)이고 연간 예산은 약 25억 달러 정도입니다. 국가 안보에 적용되는 과학기술을 위해서 설립된 최고의 연구 개발기관으로 첨단과학과 공학을 통해 핵 안전 보안과 보장을 포함, 대테러 활동, 사이버, 에너지, 환경, 바이오에 관련된 국토 안보 등을 다룹니다. 지구온난화와 환경 재해 연구도 진행되고 있으며, 차세대 미래 에너지 개발도 진두지휘하고 있습니다. 우리 팀이 담당한 플럭스 소프트웨어는 고성능 컴퓨팅(High Performance Computing (HPC))을 위한 차세대 워크로드 관리 소프트웨어입니다. 슈퍼컴퓨터 사용자들에게 그간 복잡했던 과학적 작업 흐름(workflow)을 더욱 유연하고 빠르게 관리할 수 있도록 개선시켰습니다. 시간과 노동을 줄여서 결과를 더욱 빠르게 도출시켜 줍니다. 간단히 말하면, 이전에는 불가능했던 과학 및 엔지니어링 작업을 슈퍼컴퓨터를 통해 가능하게 해 준다고 할까요.


Q: 슈퍼컴퓨터를 얘기하시니까 현재 LLNL에서 운용하고 있는 수백 대의 슈퍼컴퓨터 중 특히 시에라(Sierra)는 세계 슈퍼컴퓨터 중 3위에 위치한다는 글을 읽었습니다. 슈퍼컴퓨터의 사전적 의미가 ‘연산 처리 속도가 세계 500위 이내에 해당하는 컴퓨터’라고 하더군요. 세계에서 가장 빠르다고 볼 수 있는 슈퍼컴퓨터 성능 자랑 좀 듣고 싶습니다. 제가 지금 쓰고 있는 컴퓨터의 CPU는 인텔 코어 i5 2.9GHz입니다만 비교 예시가 가능할까요.


A: 인텔 i5와 시에라와의 연산속도를 대략 비교해보겠습니다. 52,083,333배 차이가 나네요. i5 컴퓨터 기종을 가지고 있는 오천만 명이 함께 계산해서 도출할 수 있는 문제들을 한 번에 더 빨리 계산해 낼 수 있는 성능을 가지고 있다고 추정하시면 되겠네요.


Q: LLNL의 연구원들은 국가 보안프로그램, 특히 지구 온난화와 자연재해에 관한 문제 해결에 슈퍼컴퓨터를 어떻게 이용하고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A: 예를 들자면 국가안보를 위협하는 전염병인 COVID-19을 들 수 있겠습니다. 특정 지역에 감염자 수가 폭증하자, 우리 연구소에 문의가 많이 들어왔었죠. 우리는 슈퍼컴퓨터와 AI를 연결해서 확진자 수 추이, 전염속도, 예상 신규 확진자 수, 그로 인해 벌어지는 여파와 변화 등을 모두 시뮬레이션해서 정부와 업계에 바로 제공하였고 정책 결정권자들이 과학적으로 합당한 결론을 내리고 실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습니다. 또한, 우리는 연구 커뮤니티가 잠재적인 의학적 치료법 개발을 가속할 수 있도록 주요 COVID-19 바이러스 단백질의 예측 구조를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예전에는 시간과 인력, 방대한 데이터 문제로 해낼 수 없었던 문제들이 슈퍼컴퓨터를 통해 단시간 내에 해결되는 것입니다. 한 가지 더 예를 들면, 과도한 화석연료를 인한 지구 온난화 문제도, 우리 연구소에서 진행하고 있는 미래 에너지 개발이 그에 대응할 수 있는 연구라 볼 수 있습니다. 연구소 안에 국가 점화 시설(National Ignition Facility)이란 곳이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세계에서 가장 큰 레이저 기기를 이용해서 수소 연료를 가열 압축하여 핵융합 반응을 유도하는 실험을 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가장 큰 에너지를 생성하는 기술이 핵분열을 통한 원자력 발전이었다면, 우리가 실험하고 있는 레이저를 이용한 핵융합 에너지는 핵분열 에너지보다 몇 배 큰 에너지를 생성해 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되고 있는 수소는 거의 무한하기 때문에 화석연료나 원자력을 대체할 수 있는 미래의 청정에너지가 될 것입니다.

Dong H. Ahn & His Two Sons

Q: 올버니 대학(SUNY at Albany)에서 심리학으로 학사 졸업 후 직장생활을 한동안 하시다가 다시 컴퓨터 공학으로 전과해서 일리노이 주립대학원(UIUC)에서 과학자의 길로 들어선 것으로 압니다. 문과생이 이과로 전과하기가 쉽지 않았을텐데 특별한 계기가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A: 고려대 심리학과 3학년 재학 중에 미국으로 이민을 오게 되었습니다. 그때가 1993년, 91학번인 제가 스물한 살 때였죠. 올버니 대학에 편입해서 2년을 다니고 1996년에 졸업을 했는데 그때 품었던 꿈은 저널리스트가 되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미주 중앙일보에 입사해서 한동안 기자 생활을 했었는데, 언어 및 인종의 제약 때문에 미 주류 언론에 편입되기란 쉽지 않다고 느꼈습니다. 그러다가 컴퓨터 공학이면 주류사회에 들어가는 데 언어나 인종적인 제약이 덜할 것이라고 보고 진로를 바꾸기 위해 다시 공부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제 기질이 문과와 이과의 성향을 모두 갖고 있던 터라 적응하는 데는 다행히 큰 문제는 없었습니다.


Q: 오랜 기간 연구원 생활을 하면서 어려운 점이나 좌절의 상황이 있었을 때, 그 직면했던 문제들은 무엇이었는지 어떻게 이겨냈는지 알고 싶습니다.


A: 미국 내 직장생활에서 인간관계의 형성에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한국적 방식으론 관계 형성이 힘들었고, 부서에서 혼자 동양인이라는 부담감도 컸습니다. 문화적인 면에서나 커뮤니케이션의 문제에서도 힘든 경우가 많이 발생했지요. 몇 년을 그렇게 고민하다가 문득 나 자신의 내면의 문제로 인해 그들을 거부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하는 생각이 들더군요. 상대방을 더 이해하고 내 자신의 지내온 삶을 관조하며 조금 더 자연스레 타문화를 받아들이도록 노력했습니다. 그러다 보니 고민이 자연스럽게 해결되었고, 사실 이번 수상도 좋은 팀과 함께 일하게 돼서 얻어진 결과죠.


Q: 한인 사회에도 많은 젊은이가 샌프란시스코, 실리콘 밸리 지역의 IT, 첨단 산업의 메카 지역의 삶을 동경하고 있습니다. 이곳의 실제 삶은 어떤지, 간략히 소개해 주세요.


A: 사는 것은 어디다 똑같지 않을까요? 물가가 더 비싸고, 경쟁이 좀 더 심하고, 전기차들이 많이 돌아다니고, 그런 정도의 차이만 있는 거죠. 굳이 비교한다면 한국분들도 많이 늘어서 예전에 느꼈던 위화감도 없어졌고 좋은 IT 기업들이 많아서 더 많은 기회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Q: 앞으로 계획하신 연구 분야가 있으신지요?


A: 지금까지는 슈퍼컴퓨터 한 대를 운용하는 소프트웨어를 프로그램하고 있었지만, 다중 슈퍼컴퓨터들을 통합해서 한 번에 운용할 수 있는, 클라우딩 컴퓨팅이나 타 기업이나 연구소들의 AI가 함께 이용하거나 연동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연구하려고 합니다.

Dong H. Ahn Computer Scientist

Q: 다시 한번 수상을 축하드리면서, 인터뷰 맺음말 부탁드립니다. (독자들에게 해주실 말씀이 있다면 부탁드립니다)


A: 제가 한국인이라는 것을 언제나 자랑스럽게 생각합니다. IT, 컴퓨터 공학 분야에 한국인 출신이 더 많아졌으면 좋겠어요. 특히 자라나는 다음 세대들, 그들이 이쪽 분야에 꿈을 두고 일하고 싶어 한다면, 그래서 정보나 도움이 필요하다면 언제나 도와주고 싶습니다. 그런데 도움을 주고 싶어도 지난 이십 년 이상 이 연구소에서 근무해 왔지만, 한인 학생들이나 부모님들에게 인턴십이라든지 혹은 교육 프로그램에 관련된 문의를 받아본 적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저와 같은 도움을 주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이 분야에도 많이 있을 거라고 봅니다. 잘 찾아보시고 많이 두드려보세요. 많은 기회와 도움을 얻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이제 우리 세대의 역할은 우리 다음 세대의 기반이 되는 것 같습니다. 즐거운 설 되시고, 인터뷰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시에라와 같은 슈퍼컴퓨터도 몇십 년 되지 않아 가정용 PC에 그 속도를 따라 잡힐 것이다. 그리고 그보다 더 빠른 컴퓨터가 슈퍼컴퓨터라는 위치를 차지하며 상상할 수 없을 속도의 연산으로 미래 문명을 개척해나가고 있을 것이다. 기술과학의 한가운데 있는 컴퓨터 과학자를 인터뷰하며, 어느새 인공지능 AI와 안드로이드, 자율 주행 자동차, 클라우딩, 메타버스 등 어릴 때 꿈꾸던 미래가 이미 도래했음을 느꼈다. 그 격변의 시대 중심에 서 있는 우리들과 우리가 이끌어 줄 다음 세대들이 맞이할 더 커다란 변화의 미래. 생각만으로도 가슴이 두근거리게 된다.


Interview: Clint Jung, Writer

All Photos by Dong H. Ahn


FLUX 설명 유투브 영상:

Flux: Enabling Modern Supercomputing Workflows - YouTube


POD CAST 인터뷰

https://www.exascaleproject.org/the-flux-software-framework-manages-and-schedules-modern-supercomputing-workflows/


참조 기사/링크

2021 R&D 100 Award winners announced in Process/Prototyping and Software/Services categories - Research & Development World (rdworldonline.com)

https://www.rdworldonline.com/2021-rd-100-award-winners-announced-in-process-prototyping-and-software-services-categories/


https://www.llnl.gov/news/llnl-ibm-and-red-hat-joining-forces-explore-standardized-hpc-resource-management-interface


rdworldonline.com - Flux 관련 -

https://www.rdworldonline.com/rd-100-2021-winner/flux-next-generation-workload-management-software-framework/


LLNL 웹사이트 https://www.llnl.gov/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