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 TOUCH storylab

인테리어 디자인 트렌드, 2023


새해가 되면 사람들은 뭔가 새로운 결심과 희망을 품게 된다. 더 나은 한해를 위해 나름의 방법으로 노력을 기울이는 데 그중에서도 집 주변을 정리ᆞ정돈하고 새롭게 단장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2023년 새해 집 안 분위기를 새롭게, 그리고 스타일리시하게 바꿔줄 인테리어 트렌드는 무엇일까? 지난 한 해 가장 주목을 받았던 모던하고 내츄럴한 스타일이나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홈 오피스 디자인은 점차 사라지고 올해는 담대하고 깊은 컬러로 분위기를 전환하거나 미니멀하고 심플함 대신 맥시멀하고 충만하게 채워진 공간에서 느끼는 안정감이 중심 컨셉으로 등장하고 있다. 특히 대담한 컬러나 무늬가 있는 벽지, 따뜻한 실내 숲, 자연과의 조화 그리고 골동품을 비롯한 다양한 아트의 부활이 새롭게 조명받고 있다. 강렬하면서도 스타일리시한, 그리고 디테일이 살아나는 2023년 인테리어 디자인을 5개의 키워드에 맞게 소개한다.


Rich Color & Muted Tones

밀레니얼 핑크 컬러가 실내를 뒤덮었던 시절이 있었고, 지난 몇 해 동안은 자연을 모방한 네추럴하고 뉴트럴한 계열의 색조가 환영받았다면 2023년에는 풍부하고 깊은 색채가 주목받는다. 다소 탁한 느낌이 있지만 버건디 벨벳(Burgundy Velvet)이나 세이지 라임(Sage Lime) 등 눈길을 사로잡는 강렬한 색상이 이전과는 완전히 다른 분위기를 연출해낸다. 실내 벽면이 다소 강렬하다고 느껴진다면 중립적인 에메랄드 색조나 황갈색의 따뜻한 소품을 배치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톤을 진정시키고 분위기를 중화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Fluted Details

2023년 인테리어에 등장한 새로운 단어는 플루티드 디테일(Fluted Details)이다. 플루팅(Fluting)이란 건축 기법의 일종으로 표면을 가로지르는 일련의 얕은 홈을 연속적으로 배열해 빛이 투영될 때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오래된 기술이다. 특히 이 기법은 건축물의 기둥에 주로 적용되었는데, 크고 웅장한 기둥을 최대한 완벽하게 그리고 둥글고 얇게 표현함으로써 우아하고 고급스럽게 보이도록 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런 특수한 기법은 현대 디자인에서도 다양하게 활용되는데 특히 2023년 인테리어에 크게 적용되고 있다. 전체적인 디자인은 심플하고 미니멀하면서도 플루팅을 이용한 질감을 추가함으로써 질감이 주는 장식적인 효과를 최대한 얻는 데 가장 좋은 방법이기 때문이다. 단순하면서도 전통적이며 고급스럽고 매력적인 플루팅 스타일이 좀 더 대담하고 단조롭지 않은 디자인을 추구하는 2023년에 크게 활용될 전망이다.

식탁 중심의 키친을 개방적인 공간으로 넓게 개조하고 자칫 단조로울 수 있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플루터 소파를 배치함으로써 매력적인 레스토랑 공간처럼 변신을 꾀할 수 있다.


Meaningful Collections

2023년 인테리어 시장의 근간을 이루는 컨셉은 ‘미니멀 시대(Minimalism)는 끝나고 맥시멀 시대(Maximalism)가 도래했다’는 점이다. 온갖 스트레스와 걱정으로부터 우리를 달래주는 가장 큰 위로가 집안 가득 좋아하는 물건들로 채우는 것이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2023년에는 실내를 채우는 다양한 물건 중에 뭔가 의미 있고 기념이 될만한 것들이 많다는 점이 특징이다. 예를 들면 집안 대대로 내려오는 골동품이나 낡고 오래된 가족사진, 수집품들, 그림, 장식품 등 빈티지하면서도 의미가 담긴 물건들로 채우려는 경향이 크다는 것이다. 화려한 가구가 배치된 거실이라면 단순한 그림들로 벽을 장식하고 모던한 실내라면 빈티지한 그림이나 독특한 소품들로 주변을 장식함으로써 옛것과 현대적인 것들의 조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빈 여백의 여유가 외려 외로움과 쓸쓸함을 느끼게 했다면 올해는 의미 있는 물건들로 주변을 장식하고 아름다운 예술품으로 분위기를 한층 우아하게 만들어 보는 것도 2023년 새로운 트렌드의 효과를 제대로 누릴 수 있는 방법일 것이다.


Sustainable Material

지난해에 이어 2023년에도 꾸준한 관심을 보이는 디자인 트렌드가 있다면 지속가능성이다. 온 세계가 지구 환경 보호에 대한 의지를 표방하는 만큼 인테리어 디자인에서도 지속가능성은 배재할 수 없는 중요한 화두다. 특히 생활 폐기물을 줄이고 환경 오염을 억제하면서도 오래 지속될 수 있는 디자인을 연구하는 것은 가장 우선되어야 할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친환경적인 건축자재를 선호하고 자연 친화적인 방식의 삶을 지킬 때 장기적으로는 비용이 절감되고 복지 효과는 배가되기 때문이다.

지속가능한 인테리어란 각각의 재료가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고 나중에 용도 폐기 되었을 때 자연에 어떤 해를 끼치는지를 연구하며 사려 깊게 접근하기 때문에 우리에게는 안전함, 편안함을 담보할 수 있고, 거기에 다양한 스타일과 럭셔리함을 더해 나름의 멋과 분위기를 만들 수 있다면 가장 이상적인 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재생 원목 가구, 재활용 코르크로 만든 스툴, 폐지를 모아 만든 조명기구, 리사이클 세라믹 식기 등 친환경적인 인테리어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는 소재는 무궁무진하다.


Outdoor Living

현대인들은 어렵고 복잡한 것을 피해 빠르고 단순한 삶을 지향하면서도 더 많은 시간을 자연과 더불어 생활하려는 의지가 강하다. 여가를 이용해 산행을 하거나 자전거를 타거나 다양한 방법으로 자연과의 교감을 즐기는 사람들의 수가 해가 갈수록 늘기 때문이다. 2023년에는 자연을 실내로 끌어들이거나 실내를 자연으로 연장하는 인테리어에 관심이 커지고 있다. 내가 사는 곳이 주택이 아니라면 요원할 수도 있겠지만, 거실에 테라스가 연결되어 있다면 충분히 시도해볼 만한 디자인이다. 작으면 작은 대로 플랜트를 추가하여 작은 정원을 만들고 식물을 실내에도 배치함으로써 실내와 야외가 연결되는 듯한 착시효과를 꾀할 수도 있다. 우선 야외의 사용 가능한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는 디자인이 필요하고 무엇보다 거기서 편안함을 느낄 수 있어야 한다. 만일 야외에서 머물기 어려운 구조라면 실내와 야외를 잇는 창문을 최대한 활용해 안과 바깥이 통합되도록 최대한 자연의 이점을 누릴 수 있는 디자인이 필요하다.


자료 출처: livingetc.com, goodhousekeeping.com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