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LINT JUNG, 북 칼럼니스트
10월에 읽는 공포소설 II
“인류의 가장 오래되고 가장 강력한 감정은 공포다. 그리고 가장 오래되고 가장 강력한 공포는 미지의 것에 대한 공포다.” - H. P. 러브크래프트
이번 달은 공포소설(Horror Fiction)에 관해 이야기 하려 한다. 10월은 공포 영화와 공포소설을 찾아보게 되는 할로윈의 달이다. 공포소설은 1700년대 고딕물(Gothic Fiction)을 시작으로 1800년대부터 심도 있는 작품들의 등장으로 일반 문학과 사상에 영향력을 넓혀왔는데, 누구나 알고 있는 작품들로만 대략 추려보아도 1818년 작 메리 셸리(Mary Shelley)의 <프랑켄슈타인>, 1886년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Robert Louis Stevenson)의 <지킬박사와 하이드씨>, 1891년 발표되었던 오스카 와일드(Oscar Wilde)의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 1897년 허버트 조지 웰스(H. G. Wells)의 <투명 인간>, 1897년 브람 스토커(Bram Stoker)의 <드라큘라>, 그리고 1800년대 초에 등장하는 미국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중의 한 명인 에드거 앨런 포(Edgar Allan Poe)의 작품들을 꼽을 수 있을 것이다.

추리소설의 창시자이며, 공포, 괴기, 환상, SF소설 등 장르 소설의 아버지로 불리는 에드거 앨렌 포는 1843년 작 <검은 고양이>로 국제적 명성을 얻었고 공포소설의 초석을 다진 인물이다. 포와 더불어 공포문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H.P. 러브크래프트(H.P. Lovecraft)의 작품들 또한 빼놓을 수 없다. 1900년대 초에 등장한 그는 생전에는 인정받지 못한 작가였으나 사후에는 20세기 고전 공포를 대표하며 현대 공포문학의 근간이 된 작가로 재평가 받았다. 20세기 말은 유명 작가들이 대거 등장하며 서스펜스 공포소설이 베스트셀러 소설의 주류가 되기까지 발전했다. 이 시기에는 현대공포소설의 대명사이며 이야기의 제왕으로 불리는 스티븐 킹(Stephen King), 뱀파이어 연대기로 유명한 앤 라이스(Anne Rice), 수많은 작품들이 영화화된 딘 쿤츠(Dean Koontz)등이 대표적이다. 공포소설도 그 하위장르가 다양해져서 고딕물(Gothic Fiction), 컬트(Cult), 슬래셔(Slasher), 고어(Gore), 스릴러(Thriller), 포스트 아포칼립스(Post Apocalypse), 좀비(Zombie), 괴수(Monster), 재난 (Disaster), 초현실(Supernatural), 데스게임(Death Game) 등 점점 세분되고 있다.
사실 스토리를 통해 공포를 느끼는 것은 개인적인 취향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작품이 어떤 일반소설이거나 장르 소설이던지 받아들이는 강도는 개인적인 편차가 크다. 누군가에게는 동화적인 공포를 느꼈던 V.C. 앤드류스의 <다락방에 핀 꽃>이 가장 무서웠을 것이고, 에밀리 브론테의 <폭풍의 언덕>이나 파트리크 쥐스킨트의 <비둘기>에 원초적인 두려움을 느껴졌을 수도 있다. 수많은 훌륭하고 인상적인 작가들의 작품들 사이에 작품성이나 공포의 수위를 논외로 하고, 상대적으로 내 감정 기억에 각인되어있는 네 편의 소설을 선택해 보았다. 왠지 공포나 미스터리한 소설 한 권쯤 읽어도 좋을 것 같은 10월에 책이 주는 즐거움을 더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지난번에 소개했던 에도가와 란포의 전 단편집 3 기괴환상과 스티븐 킹의 Carrie에 이어 마이클 크라이튼, 그리고 아멜리 노통브의 책 한 권씩을 더 소개한다.
By Clint Jung, Book Columnist
델로스(Delos) / 웨스트 월드(Westworld)
마이클 크라이튼(Michael Crichton)-테크노 스릴러의 대가

마이클 크라이튼(Michael Crichton)의 작품인 <델로스>를 처음 읽었을 때 뭔가 익숙한 스토리가 떠오르는 그런 책이었다. 기억을 더듬어보니 그것은 율 브리너(Yul Brynner)가 출연했던 1973년도 작 영화 <Westworld>였다. 다재다능한 마이클 크라이튼이 이 영화의 각본과 감독을 맡았다는 사실을 그때 알게 되었다. 어떤 이유에서 이 작품이 델로스란 이름으로 번역되어 한국에 출간되었는지 모르겠으나 주말의 명화로 매년 방영했었던 이 영화는 내게 공포와 두려움 그 자체였다. 죽여도 죽여도 끝까지 쫓아오는 안드로이드의 모습은 내게 서스펜스 스릴러를 느끼게 해준 최초의 작품이었다. 공포영화를 즐겨보는 사람들에게는 <13일의 금요일>의 주인공 제이슨을 최고의 소름돋는 추적자로 손꼽겠지만 내게는 율 브리너가 일순위다. 1980년도 들어서 웨스트월드의 도망자와 추적자의 씬을 차용한 것으로 보이는 <더 터미네이터>가 등장했고, 아놀드 슈월츠 제네거가 연기한 T-800의 강렬한 인상은 웨스트월드의 기억을 거의 덮을 뻔 했으나 2016년부터 HBO에서 드라마로 제작되어 재등장하였다. 정말 불사조 같은 작품이다. 또한 이 작품의 포맷을 토대로 마이클 크라이튼은 <쥬라기 공원(Jurassic Park)>를 써서 일천만부 이상 판매하기도 했다. 참고로, 마이클 크라이튼의 <웨스트월드> 소설은 현재 영문판과 한국어판 모두 절판되어 중고 구매가 아니면 구할 수 없다. 영화를 찾아보거나, 그의 다른 스릴러 소설인 <먹이(Prey)>나 <떠오르는 태양(Rising Sun)>을 대안 삼아 읽어도 좋을 듯 하다.
여담으로 2008년 그가 사망했을 때 더 이상 그의 작품을 만날 수 없는 거라는 생각에 망연자실했던 적이 있다. 그런데 그의 노트북에서 <해적의 시대(Pirate Latitudes)>란 유작이 발견되어 이듬해 출간되었고, 그래서 나오자마자 기쁘게 하드커버 초판(first edition)을 구입했다. 그리고 2년 뒤 그의 노트북에서 작업 중인 <마이크로(Micro)>란 유작이 발견되어 출간되었다는 희소식에 즉시 초판을 구입하기도 했다. 몇년 뒤인 2017년, 쥬라기 공원의 모체라는 <드래곤 티스(Dragon Teeth)> 란 유작이 발견되어 출간되었고, 초판을 또 지르긴 했는데, 연이어 유작이 발견된다는 것이 마케팅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팬의 입장으로서는 또 무언가 새로운 스토리가 발견되지 않을까 내심 기대하고 있는데, 다음 유작에 대한 소식은 아직 없다.
잔혹 동화 푸른 수염(Barbe Bleue)
아멜리 노통브(Amelie Nothomb)

그 인간은 다른 사람들, 특히 여자들의 불안을 먹고 살아. 그에게 난 조금도 무서워하지 않는다는 걸 보여주고 싶어. - p67
권선징악이 넘치는 순화된 동화들을 읽다가도 몸서리치는 경우가 있다. <헨젤과 그레텔>, <빨간모자와 늑대>, <라푼젤>, <행복한 왕자>, <인어공주>, <백설공주>... 살펴보면 셀 수 없이 많지만, 그 중에서 압권은 샤를 페로의 동화 <푸른 수염>이다. 한 귀족남자는 그간 여섯 명의 아내를 두었으나 모두 실종되어 새로운 아내를 맞이하려 한다. 하지만 사실은 아내들을 모두 감금하고 살인을 해온 것이었다. 새로 결혼한 주인공인 그녀도 결국 죽음의 위기에 빠지는데, 그녀의 오빠들이 찾아와 남편을 죽이고 그녀를 구출한다. 이런 스토리로 소시오패스의 연쇄살인범이 버젓이 등장하는 동화책을 판매한다는 것이 어릴 적 나에겐 경악 그 자체였는데, 성인이 되어도 그 충격적인 스토리는 잊혀지지가 않는다. 그러던 와중에 2014년에 벨기에 출신의 프랑스 작가 아멜리 노통브가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동명의 작품 <푸른 수염>을 내놓았다. 현대의 푸른 수염은 파리의 호화로운 저택에 살고 있는 에스파냐 귀족으로 저렴한 가격에 아홉 번째 젊은 여성 세입자를 구한다. 물론 지난 여덟 명의 세입자들은 모두 행방불명이다. 아홉 번째 세입자로 결정된 사튀르닌은 그의 친절과 구애를 피하려 노력하지만 호화로움과 안락함이 주는 삶에 익숙해져 가고 사라진 여덟 명의 여자들의 행방에 대한 궁금증도 증폭되어 간다. 상황 설명보다는 주로 주인공 두 명간의 갈등 속에 오가는 많은 대사와 방백같은 독백 속에서 문제 해결을 찾아가는 재미를 주는 아멜리 노통브의 책들을 접한 기억이 없다면 제목부터 평범하지 않은 <살인자의 건강법>, <적의 화장법> 역시 추천한다.
Clint Jung, Book Columnist

Stonybrook University 졸업. 뉴욕에서 십여 년째 라이센스 제품 제조·판매업체에서 근무 중. <겨울>, <계절 음악>, <나, 그 정체>, <아동심리>, <One Day> 시집을 출간했고, 시와 책 관련 에세이를 기약 없이 집필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