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 TOUCH storylab

#water2me, 29th World Water Day! 물 한 잔의 의미와 가치

깨끗한 물, 안전한 위생은 사람이라면 누구나 누려야 하는 권리이자 기본적인 삶의 필수 요소다. 그러나 전 세계에는 물 부족으로 인해 비위생적인 물을 마시거나 그마저도 충분히 얻지 못하는 사람들이 지금도 수십억 명에 달한다. 1992년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유엔 총회에서는 이러한 물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매년 3월 22일을 ‘세계 물의 날’로 제정, 선포하고, 해마다 다양한 이벤트와 캠페인으로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구는 70%가 물로 덮여 있지만, 인간의 생존을 위해 사용 가능한 물은 그 중 약 1% 정도인데, 그마저도 눈과 빙하로 형성되어 있어 접근이 어렵다 보니 우리가 실제로 소비할 수 있는 물은 0.01%에 불과하다. 그런데 그 소량의 물마저도 인간이 온전히 소비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농사와 축산, 산업 등 여러 분야에 나눠 소비되다 보니 인류는 식수 부족의 위협에 항상 노출되어 있다. 참고로 햄버거 한 개를 만드는 데 소비되는 물은 무려 630갤런이다.

Courtesy of Water for Kenya Instagram
Courtesy of thinklink.com

지구에 있는 담수는 사용하고 난 후에도 다시 일정하게 유지되고, 대기 속에서 재활용 가능한 자원이지만,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인구와 심각하게 변화하고 있는 기후 등을 고려하면 물 부족 현상은 앞으로 전 세계에 매우 치명적인 위협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끊임없이 문제의식이 제기되고 있다. 지금도 아프리카에서만 3억 3천 2백만 명의 사람들이 깨끗한 물에 접근할 수 없으며, 90초마다 한 명의 아이가 물과 관련된 질병으로 죽어간다고 한다. 유엔과 가입국들은 깨끗한 물을 지속해서 이용할 수 있는 거주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다양한 NGO를 지원하고, 특히 세계적인 물 문제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을 환기하기 위해 물의 날을 통해 물의 의미와 가치를 일깨우고 있다. 생명의 근원인 물의 소중함과 가치를 알고 지키는 방법으로 ‘물을 아끼는 습관’과 ‘물 오염을 막는 생활 습관’을 꼽을 수 있다. 사용 가능한 물자원의 낭비를 최대한 막는 것을 비롯해 오염된 물을 정화하는 데 소비되는 에너지를 줄이기 위해 생활 습관을 바꾸고 환경 문제에 좀 더 적극적으로 관심을 기울이는 것도 반드시 필요하다. 이를 위한 범 세계적인 캠페인도 중요하지만 모든 문제가 한 사람의 생활 방식으로부터 발생한다는 것을 깨닫고 개선하려는 노력과 협조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UN이 제시하는 생활 속 물 절약 방법


세수, 양치, 샤워를 통한 물 절약

물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샤워나 목욕 시 의식적으로 물 낭비를 막는 노력이 필요하다. 샤워 시간을 5분만 줄여도 물양을 12L나 줄일 수 있으며, 이산화탄소를 1인당 연간 6.6kg 줄일 수 있다. 샤워는 짧고 빠르게 하고, 세수나 양치를 할 때 물이 낭비되지 않도록 물을 잠그는 습관도 필요하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손을 자주 씻어야 하는 요즘에는 손에 비누칠하는 동안은 수도를 꼭 잠글 것을 권고한다.


절수형 변기 사용


절수형 변기 수조를 설치하여 물 낭비를 줄이는 방법이 있다. 절수형 변기 수조 사용이 힘들면 벽돌이나 물이 든 페트병을 변기 수조에 넣으면 그 용량만큼 물 사용을 줄일 수 있다.


세탁할 때 요령

빨랫감은 충분히 모아 한 번에 세탁하고, 세탁 시 수위는 빨래 양에 알맞게 정확하게 조절하며, 헹굼은 적정 횟수로 제안한다. 특히 세탁 시 찬물을 이용하면 에너지 낭비를 막고 환경 오염도 줄일 수 있다.


설거지 시 물 절약


주방에서 설거지할 때도 세제를 푼 물에 식기를 담가 1차로 세척을 한 후 물로 헹궈내는 방법으로 물 낭비를 줄인다. 세제 양은 최소한으로 제한하고, 가능한 한 친환경 세제를 사용하여 물 오염을 막는다. 특히 기름이 많은 팬이나 그릇 등은 물로 바로 씻지 말고 사용하고 남은 냅킨이나 휴지 등을 이용하여 기름기를 제거한 후 설거지를 하면 물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자료 출처: worldwaterday.org, Clean water for Kenya, Wikipedia,

bottom of page